저는 개발 경력 X, 4년제 졸업 X, 비교적 낮은 스펙으로 캐나다 회사에 취업했습니다
코로나 이후로 개발자, IT 직군에 대한 취업이 인기입니다. 서비스들의 디지털화와 재택근무 증가, SNS 확산, 자동화와 인공지능의 확산 등이 주요 원인이겠죠? 이제 그동안의 폭발적인 인기의 거품이 빠지는 시기라고 들으신 분도 계시겠지만, 생각해보시면 개발자라는 것은 수요가 줄어들 수가 없는 직업입니다. 특히 모든 플랫폼들을 손쉽게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할 수 있는 요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유지보수하는 데에는 결국 개발자들이 필요하니까요.
저는 스펙으로만 보면 컬리지 졸업장만 가지고 취업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취업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제가 살고있는 캐나다를 기준으로 설명드리는 부분도 있지만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부분도 많으니 다른 나라에 계시는 분들은 참고해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 포스팅은 신입 개발자 취업에 맞춰서 작성되었습니다. 이미 경력이 있으시고 이직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겐 해당되지 않는 정보가 있을 수 있으니 감안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개인 프로젝트와 GitHub
경력이 없다면 내 스킬들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을까요? 경력없이 신입으로 취업하는 분들에게 개인 프로젝트와 포트폴리오는 필수입니다.
chatGPT에 "{개발언어}로 개인 프로젝트 할만한 주제 추천해줘" 하면 좋은 주제들을 쭉~ 나열해줍니다.
생각보다 오래걸리는 것들도 많고, 하루에 만들 수 있는 간단한 프로젝트들도 많습니다.
저는 간단한 프로젝트로 내 소개 페이지 만들기를 추천드리고, advanced 프로젝트로 DB와 배포까지 사용해서 완성본을 하나 갖추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소개 페이지 만들기는 정말 하루면 만들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해요. 좋은 예시들이 많으니 아래 페이지 참고하셔서 이력서에 꼭 넣으시길 추천드려요!!
20 unique personal website examples to use in 2023 | Webflow Blog
Whatever your creative expertise, find inspiration in creating your own website by checking out these 20 great personal website examples.
webflow.com
다음으로는 GitHub입니다. 깃헙도 무조건 이력서에 넣으셔야해요. 깃헙은 코드 저장소라고 볼 수 있는데, 내가 만든 프로젝트의 코드들을 보여주고, 커밋과 브랜치 등을 보면서 내가 얼마나 깊이있게 공부하고 개발했는지 알려줄 수 있겠죠? 또한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version control과 협업에 git을 사용합니다. git을 다룰 줄 모른다는 것은 협업과 버전 관리를 할 줄 모른다는 개발자인거에요. 신입에게도 Required qualification으로 자주 등장하니 꼭 공부해놓으시길 바랍니다 !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100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
github.com
+ 저는 성실함과 꾸준함을 보여주기 위해 깃헙을 활용하기도 했어요 :)
깃헙에 코드를 푸시하면 이렇게 커밋날짜별로 활동한 지표가 나옵니다. 매일 코딩하는 습관을 들여서 잔디밭을 만들어 놓으면 채용 과정에서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겠죠?😀
2. Algorithm, Data structure, 코딩테스트
신입 개발자 취업 과정에서 99% 등장하는 것은 기본적인 개발 개념 질문들과 코딩테스트 입니다. 코딩테스트는 보통 1차 면접 전이나 후에 주어지는데요, 만약 Algorithm공부를 하지 않으셨다면 매우 막막할 수 있습니다. 저는 LeetCode라는 플랫폼에서 문제를 풀며 준비했어요
LeetCode - The World's Leading Online Programming Learning Platform
Level up your coding skills and quickly land a job. This is the best place to expand your knowledge and get prepared for your next interview.
leetcode.com
처음에 시작하시는 분들은 Easy문제만 보셔도 어려울 수 있어요. 먼저 나에게 가장 익숙하고 로직을 짜기 편한 언어를 고르시고 문제를 풀다보면 나만의 노하우가 생길거에요! 결국 알고리즘도 암기 과목이기 때문에 DFS/BFS, Backtracking, Stack, Array 등 개념들을 익혀나가시면 문제를 읽을 때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가야하는지 보이게 됩니다. LeetCode에는 Top Interview questions나 개념별로 문제를 모아놓은 Collection들이 있어요. 난이도 별로 구분되있으니 쉬운 것부터 시작해서 최소 medium까지는 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3. 꾸준함, 포기하지 않기, 타협하지 않기
앞서 저는 무경력과 컬리지 졸업장으로 취업했다고 설명드렸어요. 이 말은 결국 다른 candidate들보다 월등히 낮은 경쟁력으로 취업 시장에 뛰어든다는 거에요. 저도 8개월이라는 시간동안 200개가 넘는 회사에서 떨어지고 결국 원하는 회사에 취업이 되었습니다. 저와 같은 상황이신 분들은 개인 프로젝트와 이력서, 다른 부가적인 부분에 누구보다 더욱 노력을 기울이셔야 해요. 그래야 조금이라도 더 경쟁력있는 후보자가 돼서 채용 담당자에 눈에 띌 수 있습니다.
긴 시간동안 취업 준비를 하다 보면 분명 멘탈이 무너지는 날도 많이 찾아옵니다. 대우가 좋지 않은 회사에 들어갈까 하는 생각도 자주 들고, 개발 직군이 아닌 QA, IT support같은 타이틀에 지원해볼까 하는 생각도 들거에요. 하지만 취업은 엉덩이 싸움입니다. 잊지 마세요!
오래 걸려도 꾸준히 레쥬메를 업데이트하고 프로젝트의 완성도와 전문성을 높이면 결국 여러분의 가치를 알아보고 면접 연락이 올거에요.
대부분의 북미 회사들은 상시 채용입니다. 취준생이신 분들 Indeed나 LinkedIn 잡보드 많이 보실거에요. 절망에 빠지지 말고 꾸준히 지원하다 보면 분명 연락이 옵니다. 포기하지 말고 화이팅이에요!
캐나다의 경우 보통 학교를 졸업하고 1년에서 3년의 work permit을 받기 때문에 학생분들은 특히!! 지금 당장 위의 것들을 졸업 1-2학기 전에는 완성시키기는 게 좋습니다. 계속 미루다간 일생에 한번인 PGWP 기간을 깎아먹는거에요. 지금 당장 작은 프로젝트라도 시작해봅시다!!
다음 포스팅엔 잡서치 꿀팁과 더 구체적인 이력서 작성법들로 돌아올게요.
국내외에 계신 모든 취준생분들 화이팅!!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의 회사 문화 (0) | 2023.07.18 |
---|